맨위로가기

Time and a Word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ime and a Word》는 1970년에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예스의 두 번째 앨범이다. 앨범은 1969년 말 런던의 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밴드의 오리지널 곡과 팝, 재즈, 포크 음악 아티스트의 커버 곡을 포함한다. 프로듀서 토니 콜튼과 오디오 엔지니어 에디 오포드가 참여했으며, 오케스트라 편곡을 도입하여 기타리스트 피터 뱅크스의 반대와 밴드 멤버 교체라는 결과를 낳았다. 앨범 커버는 영국과 미국에서 다르게 디자인되었으며, 발매 당시 영국 음반 차트 45위를 기록했다. 평론가들은 록과 클래식 음악의 융합 시도를 실험적인 작품으로 평가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프로그레시브 록 팬들로부터 명반으로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스의 음반 - Close to the Edge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예스가 1972년에 발표한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Close to the Edge는 18분 길이의 대곡 〈Close to the Edge〉를 포함한 세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빌보드 200 차트 3위, 영국 앨범 차트 4위를 기록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예스의 음반 - 90125
    《90125》는 1983년 예스가 발매한 앨범으로, 트레버 라빈의 합류와 존 앤더슨의 재결합으로 제작되었으며, 트레버 혼의 프로듀싱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70년 음반 - Home (프로콜 하럼의 음반)
    프로콜 하럼의 세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Home은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초기 세션을 폐기하고 크리스 토머스의 프로듀싱으로 애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재녹음되었으며, "Whisky Train"과 "The Dead Man's Dream" 등의 곡과 밴드 멤버 보드 게임 패러디 커버로 발매 후 주목을 받았다.
  • 1970년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How the West Was Won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인 How the West Was Won은 1972년 콘서트 실황을 담아 2003년 발매 후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지미 페이지의 편집과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거쳐 2018년 리마스터링 재발매되었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Time and a Word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이름시간과 말
종류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예스
발매일1970년 7월 24일
녹음일1969년 12월 17일 – 1970년 2월 5일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길이39분 08초
레이블애틀랜틱
프로듀서토니 콜튼
이전 음반Yes
이전 음반 발매일1969년
다음 음반The Yes Album
다음 음반 발매일1971년
시간과 말 영국 커버
영국 커버
시간과 말 미국 커버, 스티브 하우 (오른쪽 끝)
미국 커버, 스티브 하우 (오른쪽 끝)
싱글
싱글 1시간과 말
싱글 1 발매일1970년 3월 27일
싱글 2스위트 드림
싱글 2 발매일1970년 6월 19일
추가 정보
외부 뮤직 비디오 - Then「Then」
외부 뮤직 비디오 - Sweet Dreams (QPR 라이브)「Sweet Dreams」(Live at QPR)
외부 뮤직 비디오 - Time And A Word「Time And A Word」
리뷰 점수
AllmusicAllmusic link
Christgau's Record GuideC

2. 배경 및 녹음

1969년 7월, 애틀랜틱 레코드에서 데뷔 음반 ''Yes''가 발매된 후, 예스영국 전역에서 활발한 투어를 진행했다.[19] 당시 밴드 구성원은 존 앤더슨(보컬), 피터 뱅크스(기타), 크리스 스콰이어(베이스), 빌 브루포드(드럼), 토니 케이(오르간)였다.[19] 1969년 말, 예스는 런던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두 번째 앨범 《Time and a Word》 녹음을 시작했다.[19]

예스는 앤더슨의 친구이자 록 밴드 헤즈 핸즈 & 피트의 가수이기도 한 프로듀서 토니 콜튼과 함께 작업했다.[4] 애틀랜틱 레코드의 유럽 담당 디렉터이자 밴드의 팬인 필 카슨은 오디오 엔지니어 에디 오포드를 불러 콜튼의 기술과 노력 때문에 음반 제작을 도왔다.[4] 오포드는 1970년대 밴드의 프로듀서이자 라이브 사운드 믹서로서 밴드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4]

이 그룹은 오리지널 곡과 팝 음악, 재즈, 포크 음악 아티스트의 커버 버전을 편곡하는 초기 음악적 방향을 유지했다. 그들은 ''Yes''와 동일하게 8개의 트랙(오리지널 6곡, 커버 2곡)으로 구성된 음반 형식을 따랐다.[4] 작사 과정에서 스콰이어, 앤더슨, 콜턴이 논의한 결과, 신곡에 관현악 편곡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앤더슨은 새로운 아이디어에 추가적인 사운드가 필요했기 때문에 오케스트라를 사용하기를 원했다.[3] 이를 위해 세션 연주자의 금관악기 섹션과 영국 왕립 음악원 학생들로 구성된 현악 섹션이 토니 콕스가 작곡하고 지휘한 편곡을 연주하기 위해 고용되었다.[3]

하지만, 기타리스트 피터 뱅크스는 오케스트라 도입에 반대했다. 그는 오케스트라가 기타와 키보드의 사운드를 묻히게 만들었다고 비판했다.[15] 뱅크스는 또한 콜턴을 앨범 프로듀서로 선정하는 것에 반대했고, 콜턴은 경험이 부족하며 개인적으로 뱅크스와 그의 연주를 싫어한다고 주장했다.[15]

1970년대 초, 록 음악계는 클래식 음악과의 융합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었고,[12] 앤더슨은 음악적 폭을 넓히기 위해 오케스트라 도입을 추진했다.

3. 커버 아트

영국 오리지널 버전의 커버는 로렌스 새크먼이 디자인하고 그래프리크스가 코디했으며, 흑백의 다다이즘 체크무늬와 나체 여성이 등장하는 디자인이었다.[19][3] 그러나 이 디자인은 미국에서 부적절하다고 여겨져 애틀랜틱 레코드는 런던의 워더 스트리트 스튜디오에서 배리 웬첼에게 밴드의 새로운 사진 촬영을 의뢰했다.[3] 이 때, 피터 뱅크스를 대신하여 스티브 하우가 예스의 기타리스트가 되었기 때문에, 미국 버전 커버에는 하우의 사진이 실렸다.[3] 하지만 미국 음반 소매 뒷면은 영국판과 동일하여 뱅크스의 사진이 포함되었다.[3] 하우는 오리지널 음반 커버가 성차별적이라는 이유로 거부당했지만, 음반에서 연주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사진이 실린 음반을 계속 인쇄하고 판매한 것에 대해 애틀랜틱 레코드에 분노했다고 말했다.[3] 미국에서 발매된 로저 딘이 그린 컴필레이션 음반 《Yesterdays》의 커버는 이번 음반의 커버에 대한 오마주였는데, 같은 포즈로 머리가 보이지 않는 나체 여성이 등장했고, 엉덩이에 검은 나비를 두른 모습이 《Time and a Word》와 같았다.[3]

4. 곡 목록

Side one
번호제목작사·작곡
1"No Opportunity Necessary, No Experience Needed"리치 헤이븐스, 제롬 모로스
2"Then"존 앤더슨
3"Everydays"스티븐 스틸스
4"Sweet Dreams"앤더슨, 데이비드 포스터



Side two
번호제목작사·작곡
5"The Prophet"앤더슨, 크리스 스콰이어
6"Clear Days"앤더슨
7"Astral Traveller"앤더슨
8"Time and a Word"앤더슨, 포스터


4. 1. Side One

"No Opportunity Necessary, No Experience Needed"는 리치 헤이븐스가 작곡한 곡을 커버했으며, 1958년 서부 영화 ''빅 컨트리''의 사운드트랙에서 가져온 제롬 모로스의 오케스트라 테마로 시작한다.

"Then"은 존 앤더슨이 작곡했다.

"Everydays"는 스티븐 스틸스의 곡을 커버한 것이다. 버펄로 스프링필드의 곡으로, 정(靜)과 동(動)의 대비를 강조한 편곡이 특징이다.

"Sweet Dreams"는 존 앤더슨과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곡했다. 미래의 Yes 기타리스트 트레버 래빈으로부터 특히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는 1984년 ''90125'' 투어에서 이 곡을 연주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샴페인에서의 공연 외에는 투어 중 이 곡이 연주된 것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Sweet Dreams" 싱글의 B 사이드에는 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지만 앨범에는 포함되지 않은 "Dear Father"가 수록되었다. 이 곡은 1975년 컴필레이션 앨범 ''Yesterdays''에 수록되면서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4. 1. 1. No Opportunity Necessary, No Experience Needed

리치 헤이븐스가 작곡한 곡을 커버했으며, 1958년 서부 영화 ''빅 컨트리''의 사운드트랙에서 가져온 제롬 모로스의 오케스트라 테마로 시작한다.

4. 1. 2. Then

존 앤더슨이 작곡했다.

4. 1. 3. Everydays

스티븐 스틸스의 곡을 커버한 것이다. 버펄로 스프링필드의 곡으로, 정(靜)과 동(動)의 대비를 강조한 편곡이 특징이다.

4. 1. 4. Sweet Dreams

존 앤더슨과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곡했다. 미래의 Yes 기타리스트 트레버 래빈으로부터 특히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는 1984년 ''90125'' 투어에서 이 곡을 연주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샴페인에서의 공연 외에는 투어 중 이 곡이 연주된 것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Sweet Dreams" 싱글의 B 사이드에는 애드비전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지만 앨범에는 포함되지 않은 "Dear Father"가 수록되었다. 이 곡은 1975년 컴필레이션 앨범 ''Yesterdays''에 수록되면서 앨범으로 발매되었다.

4. 2. Side Two

# 예언자 - "The Prophet" (존 앤더슨, 크리스 스콰이어)

#: 앤더슨은 이 곡에서 많은 사람들의 뒤를 따르는 한 남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찾고 믿으라고, "양처럼" 따르지 말라고 말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 곡은 영국의 작곡가 구스타프 홀스트의 행성 모음곡 중 "환희를 가져오는 목성"의 테마를 차용했으며, 앤더슨이 정기적으로 듣던 클래식 음악의 다른 테마를 통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맑은 날들 - "Clear Days" (존 앤더슨)

# 별을 여행하는 사람 - "Astral Traveller" (존 앤더슨)

# 시간과 말 - "Time and a Word" (존 앤더슨, 포스터)

#: "Time and a Word"는 밴드가 앤섬 유형의 곡을 찾으면서 만들어졌다. 음악적으로 아직 미숙했던 앤더슨은 기타로 두세 개의 코드만 사용하여 이 곡의 기본적인 테마를 밴드에 제시했고, 다른 밴드 멤버들은 그가 무엇을 연주하는지 파악하려 애썼다. 이 곡은 포스터의 어쿠스틱 기타 연주로 녹음되었다. 뱅크스는 다시 동의하지 않았고, 가이드 트랙으로만 사용될 예정이었기에 최종 믹스에 포함될 곡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최종 버전에서는 뱅크스가 포스터의 연주 위에 자신의 파트를 연주했다.

4. 2. 1. The Prophet

〈The Prophet〉은 존 앤더슨크리스 스콰이어가 작곡한 곡이다. 앤더슨은 이 곡에서 많은 사람들의 뒤를 따르는 한 남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찾고 믿으라고, "양처럼" 따르지 말라고 말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이 곡은 영국의 작곡가 구스타프 홀스트의 행성 모음곡 중 "환희를 가져오는 목성"의 테마를 차용했으며, 앤더슨이 정기적으로 듣던 클래식 음악의 다른 테마를 통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 2. 2. Clear Days

존 앤더슨이 작곡했다.

4. 2. 3. Astral Traveller

존 앤더슨이 작곡했다.

4. 2. 4. Time and a Word

"Time and a Word"는 밴드가 앤섬 유형의 곡을 찾으면서 만들어졌다. 음악적으로 아직 미숙했던 존 앤더슨은 기타로 두세 개의 코드만 사용하여 이 곡의 기본적인 테마를 밴드에 제시했고, 다른 밴드 멤버들은 그가 무엇을 연주하는지 파악하려 애썼다. 이 곡은 포스터의 어쿠스틱 기타 연주로 녹음되었다. 뱅크스는 다시 동의하지 않았고, 가이드 트랙으로만 사용될 예정이었기에 최종 믹스에 포함될 곡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최종 버전에서는 뱅크스가 포스터의 연주 위에 자신의 파트를 연주했다. 앤더슨과 데이비드 포스터가 작곡했다.

5. 평가

이 앨범은 발매 당시 영국 음반 차트에서 45위를 기록했다.[9] 음악 평론가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였지만, 대체로 록과 클래식 음악의 융합을 시도한 실험적인 작품으로 평가했다.[12] 특히, "No Opportunity Necessary, No Experience Needed" (리치 헤븐스의 곡을 커버)의 오케스트라 편곡은 서부극영화 『위대한 서부』의 주제가를 화려하게 연주하여 원곡보다 더 강한 인상을 남겼다는 호평을 받았다.[13]

존 앤더슨은 예스 음악의 폭을 넓히기 위해 오케스트라 도입을 추진했지만, 피터 뱅크스는 자신의 기타와 토니 케이의 키보드가 오케스트라에 묻힌다며 반대했다.[15]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는 이 앨범에 5점 만점에 2점을 주었다.[8] 올뮤직 또한 5점 만점에 2점을 부여했다.[6]

차트 (1970)최고
순위



;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대한민국에서 프로그레시브 록 팬들은 ''Time and a Word''를 명반으로 인정하며, 특히 진보적인 음악 성향을 가진 리스너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는다.[6][8][10] 1970년대 한국 록 음악 씬에 예스의 음악이 소개되면서, 실험적인 사운드를 추구하는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5.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대한민국에서 프로그레시브 록 팬들은 Time and a Word를 명반으로 인정하며, 특히 진보적인 음악 성향을 가진 리스너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는다.[6][8][10] 1970년대 한국 록 음악 씬에 예스의 음악이 소개되면서, 실험적인 사운드를 추구하는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6. 밴드 멤버 교체

1970년 초, 앨범 녹음이 완료된 직후 밴드 내 긴장이 고조되어 기타리스트 피터 뱅크스에게 밴드를 탈퇴하라는 요청이 들어갔다.[4] 뱅크스의 탈퇴는 앨범 녹음 과정에서의 음악적 견해 차이와 밴드 내 갈등이 원인이었다. 뱅크스는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이 "어리석은 아이디어"였다고 생각했다.[4] 1970년 3월 21일과 22일 런던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 열린 두 번의 단독 콘서트에서 예스는 ''Time and a Word''의 곡 대부분을 초연했다. 이 공연은 토니 콕스가 이끄는 20인조 오케스트라와 함께 진행되었으나, 존 앤더슨은 리허설 시간 부족과 음향 시스템 문제로 인해 실패였다고 회고했다.[4]

스티브 하우는 그해 6월에 뱅크스를 대신하여 예스의 기타리스트로 합류했다.[4] 하우는 미국 음반 커버에 등장하지만, 실제로는 앨범에서 연주하지 않았다.[4] 하우는 오리지널 음반 커버가 성차별적이라는 이유로 거부당했지만, 앨범에서 연주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사진이 실린 음반을 계속 인쇄하고 판매한 것에 대해 애틀랜틱 레코드에 불만을 표했다.[4]

7. 추가 정보


  • 1989년 애틀랜틱(Atlantic)에서 CD를 발매하였다.
  • 1994년 애틀랜틱(Atlantic)에서 CD를 리마스터하여 발매하였다.
  • 2003년 라이노(Rhino)에서 보너스 트랙을 포함한 리마스터 CD를 발매했다. 보너스 트랙으로는 "Dear Father", "No Opportunity Necessary, No Experience Needed" (오리지널 믹스), "Sweet Dreams" (오리지널 믹스), "The Prophet" (싱글 버전)이 추가되었다.


'''추가 인원'''

  • 데이비드 포스터 – "Sweet Dreams" 보컬, "Time and a Word" 어쿠스틱 기타[3][4]
  • 토니 콕스 – 오케스트레이션, 지휘[3][4]
  • 영국 왕립 음악 대학 학생들 – 금관악기, 현악기[3][4]

7. 1. 2003년 리마스터

2003년 라이노(Rhino)에서 보너스 트랙을 포함한 리마스터 CD를 발매했다. 보너스 트랙으로는 "Dear Father", "No Opportunity Necessary, No Experience Needed" (오리지널 믹스), "Sweet Dreams" (오리지널 믹스), "The Prophet" (싱글 버전)이 추가되었다.

7. 2. 관련 인물



'''추가 인원'''

  • 데이비드 포스터 – "Sweet Dreams" 보컬, "Time and a Word" 어쿠스틱 기타[3][4]
  • 토니 콕스 – 오케스트레이션, 지휘[3][4]
  • 영국 왕립 음악 대학 학생들 – 금관악기, 현악기[3][4]

참조

[1] 웹사이트 Singles discography http://forgotten-yes[...]
[2] 간행물 Yes albums https://www.worldrad[...] 1977-09-17
[3] 기타 Time and a Word Atlantic Records
[4] 기타 Time and a Word [2003 Remastered and Expanded Version] Rhino Records
[5] 웹사이트 Sweet Dreams (190) http://forgotten-yes[...] 2024-06-14
[6] 웹사이트 Time and a Word – Ye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1-07-03
[7]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09
[8]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9] 웹사이트 The Official Charts Company – Yes – Time and a Word https://www.official[...] 2011-07-03
[10] 간행물 Yes, It's Superb! 1970-08-22
[11] 기타 ChartArchive - Yes http://chartarchive.[...]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웹인용 Time and a Word – Yes | AllMusic http://www.allmusic.[...] 2011-07-03
[18]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3-09
[19] 기타 Time and a Word Atlantic Records
[20] 기타 Time and a Word [2003 Remastered and Expanded Version] Rhino Recor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